(부산동래여행)수안역에서 임진왜란 참상인 동래읍성 해자. 수안역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 


현재 책 한 권을 보는 중입니다. 

보는 것도 아니죠 하루 만에 다 읽어갈 정도로 지금은 조금 남았습니다.

책의 제목은 ‘임진왜란 부산, 그 길을 걷다’입니다. 

저자는 정약수 선생님이며 벌써 가지고 있던 책이지만 마침 보던 책을 다 보고 다음 볼 책을 고심하다가 책상 위 포개진 책 위에 ‘임진왜란 부산’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수안역 동래읍성임진왜란역사관 주소: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200-4




2016/11/05 - [여행] - (부산동래여행/부산동래가볼만한곳)복천박물관. 가야시대 복천동 고분군 유물전시관인 복천박물관 여행 복천박물관

2016/10/21 - [여행] - (부산동래여행)동래부 동헌 외삼문 동래독진대아문을 만나다. 동래부 동헌 외삼문 동래독진대아문

2016/10/19 - [여행] - (부산동래여행)동래읍성. 송상현부사와 동래성 전투. 임진왜란의 아픔이 남아 있는 동래읍성 여행

2016/10/17 - [여행] - (부산동래여행/부산동래가볼만한곳)동래읍성 내주축성비. 동래읍성 수축을 기록한 내주축성비

2016/10/13 - [여행] - (부산여행/동래여행)동래복천동고분군, 삼국시대 고분군 동래복천동고분군을 여행하다. 복천동고분군

2016/10/11 - [여행] - (부산여행)동래부관아 망미루. 동래부동헌 앞에 세워졌던 망미루가 현재 부산의 대표적인 2층 누각건물입니다. 동래부관아 망미루




책 제목에서 보듯이 임진왜란에서 가장 먼저 함락된 부산진성과 동래성이야기라 생각되었습니다. 

저 또한, 세세하게 알지 못하지만 그래도 동래읍성과 부산진성의 흔적이 있는 자성대. 다대포 윤공단 등 부산의 여러 임진왜란 전적지를 다니면서 수박 겉핥기식으로 조금은 알고 있어 그런 유의 책이라고 치부하면서 별 관심 없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사무실에서 잠시 머리말을 읽다가 임진왜란의 그 생생한 내용에 책을 놓지 못해 바로 하루 만에 책한권을 다 읽을 판이었습니다. 

책 내용에 나오지만, 임진왜란에 몇몇 장수를 빼고는 나라와 백성의 안위는 도외시하고 장수란게 자기 살길을 찾아 도망치는 것을 보면서 울분을 금할수 없었습니다. 

특히 경상좌수사였던 박홍이 취했던 태도에는 이런 자가 장수였다는 것에 참담할 뿐입니다.





절영도(현 영도) 앞바다를 꽉 메운 왜군의 함선을 보고 달려온 부산진첨사 정발장군은 오늘 밤 왜군에게 기습공격을 하자는 제안을 합니다. 

그러나 박홍은 이런저런 핑계로 빠져나갔고 정발은 더는 기대를 하지 않고 다시 부산진성에서 일전을 치를 결심을 합니다. 

그러나 박홍은 왜군의 동태를 본다고 황령산에 올라가 바다를 뒤덮은 왜군의 함선을 보고는 놀라 그 길로 내려와 배를 수장시키고 식량창고에다 불을 지르고는 도망 쳐 버렸습니다.







현재 수영에는 당시 경상좌수영이 복원해 있으나, 당시 왜군이 무혈입성했던 곳입니다. 

그리고 경상우수사의 원균 또한 좌수사의 박홍 못지않았습니다. 

원균 또한 거제도의 우수사를 부하 장수에게 맡기고 도망쳐버렸습니다. 

왜적은 부산진성을 지키던 정발장군에게 “명나라를 치려 하니 길을 내어 달라”하자 장군은 “내어 줄 길이 없다”며 3,000여 군·관·민은 목숨 걸고 싸웠으나 성은 함락되었고 정발장군은 절명하였습니다.





이들은 부산진성의 여세를 몰아 들불처럼 나아갔습니다. 

주력부대는 동래성으로 향하고 일부는 다대포로 향했습니다. 

다대포첨사 윤홍신장군도 왜적을 맞아 끝까지 싸웠으나 장렬하게 전사하고 말았습니다. 

왜는 1592년 4월15일 송상현부사가 지키는 동래성에다 '전즉전의부전즉가도(戰則戰矣不戰則假道)'인 “싸울 테면 나와서 싸우고 아니면 길을 빌려 달라”고 하자 송부사는 “죽기는 쉬워도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는 '전사이가도난(戰死易假道難)으로 답하며 끝까지 동래성을 사수하다 군·관·민 모두 동래성에서 옥쇄하였습니다.








왜는 ‘움직이고 피 흘리는 모든 것은 살해했는데 여자고 어린아이고 고양이고 개 할 것 없이 모두 도륙했다’고 일본의 ‘길야일기’는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때의 참혹했던 현장의 모습이 도시철도 4호선 공사 도중에 발견되었습니다. 동래읍성이 있었던 수안역인데 동래읍성을 따라 땅을 파서 만든 해자였습니다.

 






동래읍성 해자는 성벽에서 30m 떨어져 있고 폭은 5m에다 높이는 대략 2m 깊이에 돌을 쌓은 형태였습니다. 

‘임진왜란 부산. 그 길을 걷다’에서 수안역 동래읍성 해자에서 남자 59명, 여자 21명, 어린이 1명 등 모두 81명의 인골이 수습되었다 합니다. 

이들은 칼에 베였거나 활과 총 , 둔기 등에 맞았거나 조총에 맞은 것으로 보이는 구멍 뚫린 인골과 함몰된 인골이 발굴된 현장을 보면서 당시 처참했던 현장 분위기를 그대로 읽을 수 있었습니다.





칼과 화살촉, 목궁, 해자 바닥에 설치한 목익 등 널브러진 무기류를 보면서 당시의 처참한 모습에 통탄을 금할 수 없습니다. 

더욱 기가 막히는 일은 이안눌이 남긴 시를 보고서입니다. 

이안눌의 시에는 두 왜란의 참담함이 잘 나와 있습니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이 끝나고 10년이 지난 1608년경 이안눌이 동래부사로 부임해왔습니다.







“4월15일 새벽에 집집이 곡소리가 일어나 천지가 소슬하고 처참한 바람이 숲을 진동하니 놀라서 나이 많은 아전에게 물으니 이날이 임진년 성이 함락된 날이라 하였다”로 시작되는 ‘동래맹하유감’입니다. 

당시 송상현부사와 백성이 함께 얼마나 많은 사람이 죽었는지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였으며 쌓인 시체 밑에 깔려 목숨을 건진 사람은 천백 명 중 한두 명뿐이었다 합니다.







이는 종군 승려 텐게이의 서정일기에 동래성 전투에서 “3,000을 목 베고 500을 포로로 잡았다”라고 쓰고 있습니다. 

이를 보면 4월 15일 친족의 제사를 지내는 통곡의 울음소리가 얼마나 울렸는지 짐작이 가고도 남습니다. 

우리에게는 여러 번 큰 전란의 참상을 겪었습니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병자호란, 경술국치, 한국동란 등 수많은 전란과 핍박은 모두 준비하지 않은 데서 일어났습니다. 

지금도 불완전한 정세 속입니다. 준비하지 않고 넋 놓고 있다가는 또 어떤 전란과 핍박을 당할지 모를 일입니다. 

수안동의 처참한 동래읍성 해자가 이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임진왜란 부산, 그 길을 걷다 저자 정약수



(부산동래여행/부산동래가볼만한곳)동래부 동헌. 새롭게 복원한 동래부 관아 건물 동래부 동헌을 여행하다.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에 있는 조선 시대 후기 동래부 관아 건물인 동래부 동헌을 여행하고 왔습니다. 동헌은 일명 아헌이라고도 하며 수령의 살림집을 내아라고 하며 동헌은 외아라고 불립니다. 동래부 동헌은 조선 시대 동래도호부의 부사가 공무를 보던 곳으로 이청, 무청, 향청 등 관아 건물의 중심이 되는 건물입니다. 동래부 동헌은 1636년 인조 14년에 부사 정량필이 창건하였습니다.





동래부동헌 주소: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421-56




 

동래부 동헌의 외삼문 독진대아문


1711년 숙종 37년에 부사 이정신에 의해 충신당이라 이름 지어 아헌으로 사용하였습니다. 동래부 동헌은 일제강점기에 동래 군청 청사로 사용하다가 우여곡절인지 모르지만 동래군이 양산군으로 편입되는 사태가 일어나면서 양산군 보건소 동부지소로 사용되기도 했다 합니다.



동래독진대아문 포스팅 보기:

2016/10/21 - [여행] - (부산동래여행)동래부 동헌 외삼문 동래독진대아문을 만나다. 동래부 동헌 외삼문 동래독진대아문








동래부 동헌에는 충신당과 좌우에 동익랑과 서익랑과 동래동호부 동헌의 출입문으로 망미루로 불렸던 동래도호아문과 외삼문인 독진대아문 등이 부속건물로 있었습니다. 동헌의 건물을 보면 동익랑은 동헌의 안살림을 담당했던 다모방으로 사용되었고 서익랑은 공물을 보관하는 내유포고, 형벌기구를 보관하는 형장고와 사령이 기거하는 흡창방 등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동래부 동헌 충신당(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호)



그러나 아쉽게도 일제강점기 때 시가지정비계획을 한다고 동헌을 철거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에 서익랑 건물은 철거되었고 동래도호아문인 망미루와 독진대하문은 1930년경에 각각 금강공원 입구와 금강공원 내에 옮겨 복원하였습니다. 그러나 동헌의 중심건물인 충신당만 본래 위치를 고수하며 남아 있었습니다.






이와 함께 동래부 동헌의 원래 위치에 복원하면서 전체적인 규모는 많이 축소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충신당과 동익랑 건물은 서로 많이 떨어졌으나 좁은 부지에 새롭게 복원하다 보니 마치 하나의 건물처럼 느껴집니다. 충신당은 앞면 7칸에 옆면 4칸 규모로 팔작지붕건물입니다.





처음에는 좌·우에 방이 있었으며 가운데에 대청을 두어 수령은 대청에서 공무를 처리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동래군청과 보건소 등 관청 건물로 사용하다 보니 벽면과 천장, 마루 등을 용도에 맞게 개조하여 원래의 모습을 잃은 상태였습니다.



지희루 동래 읍성 동문의 현판 





서쪽벽은 원래 모습 그대로이며 문설주와 중방등이 남아 있습니다. 건물을 받치는 기단도 정면과 서측면만 원래 모습대로 남아 있으며 전면에 놓여 있는 디딤돌과 계단은 이 건물의 바닥이 마루였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무우루 동래읍성 남문 현판






은일루 동래읍성 암문에 있던 현판



심성루 동래읍성 서문의 현판





동래부 동헌의 충신당은 부산 지방에 남아 있는 조선 시대 단일건물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면서 유일한 건물입니다. 또한, 동래부 동헌은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관아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는 문화재로 평가하고입니다.


 

찬주헌






 










 




망미루 포스팅 보기:

2016/10/11 - [여행] - (부산여행)동래부관아 망미루. 동래부동헌 앞에 세워졌던 망미루가 현재 부산의 대표적인 2층 누각건물입니다. 동래부관아 망미루



망미루(동래도호아문)


동래부 동헌의 출입문이었던 망미루는 바깥쪽으로 동래도호아문의 편액이 걸려 있으며 안쪽에는 망미루 편액이 걸려 있습니다. 동래도호아문은 1742년 영조 18년에 동래부사였던 김석일에 의해 동헌 앞에 세워진 문루입니다. 1895년 고종 32년에 동래도호부가 동래관찰사영으로 승격되어 포정사로 불렸습니다. 동헌을 들어서는 입구의 망미루 누각 위에는 동래읍성의 사대문을 여닫는 시간을 알리는 큰 북이 걸려 있었다 합니다. 동래도호아문인 망미루는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으로 된 2층 누각으로 누각 밑으로 사람들의 통행이 가능한 꽤 높은 크기의 건물이었습니다.





건물을 바치는 기둥의 아랫부분은 모두 장초석의 돌기둥을 세워 더욱 튼튼하게 보이도록 하였으며 동래도호아문의 권위와 외관을 갖추었습니다. 2층 누각 바닥은 귀틀마루에다 사방을 개방하였으며 그 끝에는 계자난간을 둘렀습니다. 이는 건물의 천장이 높지 않은 것으로 보아 외부의 침입에 대비하고 방어와 감시용으로 세워진 건물로 보입니다.


 




고마청으로 마굿간








동래독진대아문은 1636년 인조 14년에 부사 정양필에 의해 동래부 동헌 충신당과 함께 건립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1700년 숙종 26년에 동래부사 김덕기와 1870년인 고종 7년에 부사 정현덕에 의해 중수와 중건되었다 합니다. 이 문은 1655년 효종 6년에 동래부의 군사권을 담당했던 경상좌병영이 있는 경주진영에서 독립하여 동래독진(東萊獨鎭)이 되었음을 알리는 동래독진대아문 현판이 정면에 걸려 있습니다.














또한, 양쪽 기둥에는 진변병마절제영과 교린연향선위사라는 주련(柱聯)이 걸려있으며 이 뜻을 보면 동래부가 진변의 병마절제사의 영이며 대일 외교시 일본사신을 접대하는 관아라는 뜻입니다. 부산지역에 남아 있는 유일한 관아 대문이며 앞면 3칸, 옆면 1칸 규모로 솟을삼문인 홑처마 기와 건물입니다. 대문의 천장 아래 홍살이 있는 것을 보면 동래부 동헌의 외대문으로 보입니다.


 





 

 

 

독경당은 동래부사가 독서하며 휴식했던 공간.



조선 후기에 건립된 전형적 관아 출입문이며 부산 지역의 대표적 건물인 망미루와 동래부동헌의 외대문인 동래독진대아문은 1920년대까지 원래의 자리인 동래시장 입구와 농협인근에 있었습니다. 그러나 일제의 시가지 정비계획을 추진한다고 헐릴 위기에 처하자 동래읍성 주민들에 의해 금강공원 입구와 금강공원내에 각각 이건했다가 2014년 우리 문화재의 보호와 원형복원 차원에서 다시 원래 위치로 옮겨 복원했습니다.

 








 







 

(부산동래여행/부산동래가볼만한곳)동래부 동헌 외삼문 동래독진대아문을 만나다. 동래부 동헌 외삼문 동래독진대아문


부산시 동래구 온천동 금강공원 안에 있던 동래독진대아문을 보고 자란 한사람입니다. 당시 금강공원 안에 큰 바위가 있었는데 그 바위 이름이 말바위였습니다. 이곳에서 동래 꼬치 친구와 총싸움, 칼싸움하며 뛰어놀았습니다. 그 옆에는 동래독진대아문의 현판이 걸린 삼문형식의 솟을대문이 있었습니다. 당시에는 이게 왜 이곳에 있었는지가 중요하지 않았고 그저 우리의 놀이터로서만 생각했는데 이번에 동래여행을 하면서 우연히 만나게 되었습니다.







2016/10/19 - [여행] - (부산동래여행)동래읍성. 송상현부사와 동래성 전투. 임진왜란의 아픔이 남아 있는 동래읍성 여행

2016/10/17 - [여행] - (부산동래여행/부산동래가볼만한곳)동래읍성 내주축성비. 동래읍성 수축을 기록한 내주축성비

2016/10/13 - [여행] - (부산여행/동래여행)동래복천동고분군, 삼국시대 고분군 동래복천동고분군을 여행하다. 복천동고분군

2016/10/12 - [여행] - (부산여행)동래 장관청.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처음 가봤던 동래 장관청 건물이 지금은 해체·복원 공사가 진행중. 동래 장관청

2016/10/11 - [여행] - (부산여행)동래부관아 망미루. 동래부동헌 앞에 세워졌던 망미루가 현재 부산의 대표적인 2층 누각건물입니다. 동래부관아 망미루






항상 한번 찾아가야지 하며 생각했던 놀이터의 유물(?)을 금강공원이 아닌 동래부동헌에서 만났습니다. 동래독진대아문은 동래부 동헌을 복원하면서 외대문으로 돌아와 있었습니다. 동헌 밖에서 현판의 동래독진대아문을 되뇌며 참 많이 들었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어릴 적 놀이터로 뛰어놀았던 그 문이었습니다. 동래독진대아문은 처음에 이곳과 마주 보는 자리에 있었습니다. 그곳에는 옛터를 알리는 작은 빗돌이 당시의 동래부 동헌 외대문의 영화를 이야기해주고 있습니다. 경상좌병영 경주진영에 소속되었던 동래부가 독립하여 독진이 되었음을 알리는 문이며, 지금은 동래부 동헌 안으로 옮겨 세운다는 내용입니다.





동래부 동헌 외대문(東萊府 東軒 外大 門)이었던 동래독진대아문(東萊獨鎭大衙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래부 동헌 외대문인 동래독진대아문은 조선 후기 동래부의 군사적 중요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유적입니다. 이곳은 일본과 가까웠고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등 일본과의 전란을 겪었고 크고 작은 충돌이 자주 있었습니다. 그리고 동래부에는 일본인의 거주지역인 왜관도 있어 국방과 외교상 아주 중요한 곳이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다른 고을의 관아보다 규모도 컸습니다. 동래부독진대아문의 건립은 1636년인 인조 14년에 동래부사였던 정양필이 두 전란으로 황폐되었던 동래부동헌을 새로 건립하면서 함께 건립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건물은 1870년 고종 7년에 동래부사 정현덕이 중건했으며 외삼문 가운데에 ‘동래독진대아문(東萊獨鎭大衙門)’ 현판이 떡하니 걸려 있습니다. 그 아래 두 기둥에는 주련이 달렸습니다. 진변병마절제영(鎭邊兵馬節制營)과 교린연향선위사(交隣宴餉宣慰사) 현판으로 동래부가 진변의 병마절제사영이고 대일외교를 하면서 일본사신을 접대하는 관아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독진이 된다는 뜻은 원래 동래부의 군사적 관할은 경상좌병영의 지휘하에 경주 진관 소속이었습니다. 경주진관소속에서 따로 독립하여 동래독진이 되었음이며 그것을 보여주는 유적이 현재 수영시장 인근에 남아있는 경상좌수영 건물입니다.




 



동래부 동헌 외대문은 전형적인 관아 대문 모습입니다. 규모는 작으나 삼문형식의 솟을대문은 흔하지 않으며 천정 아래 홍살이 있어 처음부터 외삼문이었던 건물로 보입니다. 규모는 앞면 3칸, 옆면 1칸의 홑처마입니다. 이 건물은 동헌 대문으로 망미루 뒤편에 세워졌는데 일제강점기 때인 1930년경에 시가지 정비를 하면서 철거위기에 처하자 동래 백성들의 노력으로 망미루, 내주축성비와 함께 금강공원 입구와 안으로 옮겨졌으며 2014년 8월 동래부 동헌을 복원하면서 현재의 자리로 다시 옮겨오게 되었습니다.


동래독진대아문(동래부 동헌 외삼문)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5호

동래부 동헌 동래독진대아문(동래부 동헌 외삼문)

주소: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 112번길 61(수안동)


 

 

(부산동래여행/부산동래가볼만한곳)동래읍성. 송상현부사와 동래성 전투. 임진왜란의 아픔이 남아 있는 동래읍성 여행


부산의 옛 지명은 동래였습니다. 조선 시대 동래부의 행정중심지를 둘러싸는 읍성이 있었는데 그게 오늘날 복원하여 부산광역시지정 기념물 제5호가 되었습니다. 동래읍성의 범위는 아주 넓어 부산광역시 동래구의 복천동·안락동·명륜동·칠산동·명장동 일원까지 걸쳐져 있으며 그 가운데 마안산을 정점으로 남쪽으로 뻗어내린 구릉지와 남문 터 등의 평탄지를 포함하는 전형적인 평산성 형식의 석성입니다.






☞2016/10/17 - [여행] - (부산동래여행/부산동래가볼만한곳)동래읍성 내주축성비. 동래읍성 수축을 기록한 내주축성비

2016/10/13 - [여행] - (부산여행/동래여행)동래복천동고분군, 삼국시대 고분군 동래복천동고분군을 여행하다. 복천동고분군

2016/10/12 - [여행] - (부산여행)동래 장관청.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처음 가봤던 동래 장관청 건물이 지금은 해체·복원 공사가 진행중. 동래 장관청

2016/10/11 - [여행] - (부산여행)동래부관아 망미루. 동래부동헌 앞에 세워졌던 망미루가 현재 부산의 대표적인 2층 누각건물입니다. 동래부관아 망미루

2016/10/08 - [여행] - (부산여행/부산가볼만한곳)송공단. 임진왜란 때 동래성 전투에서 산화한 송상현을 모신 제단 송공단 참배







내주축성비


북문



동래읍성은 마안산의 산성과 평지성을 모두 갖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형태의 읍성입니다. 동래읍성의 축성을 보면 삼한시대 이후로 거슬러 올라가며 그 당시 동래에는 독로국으로 불렸던 성읍국가가 존재했습니다. 그때 이미 성을 쌓았을 것으로 추정하며 동래읍성에 관한 기록은 1021년 현종 12년에 동래성을 수리했다며 고려사에 등장합니다.







고려와 조선 초기에는 바다 건너 일본의 약탈이 심했고 또한 동래부는 대일외교 창구로서 중요하게 인식되어 동래는 관아의 규모도 크고 격식이 높은 정3품의 부사가 담당하였습니다. 1592년(선조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정발장군이 지켰던 부산진성이 무너졌습니다.


 



왜적 방어의 1차 관문인 동래성까지 왜군은 물밀 듯이 밀려들었습니다. 왜장 고니시 유키나가는 동래성을 지키는 송상현 부사에게 ‘명나라를 치기 위한 길을 빌려 달라’고 사실상 최후통첩을 보내자 송상현은 ‘싸워서 죽기는 쉬워도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는 ‘전사이가도난(戰死易假道難)’으로 군·관·민은 최후의 일인까지 동래성을 사수하고자 하였습니다.



장영실과학관






그러나 수적인 열세에 마침내 동래성은 무너졌고 송상현 부사는 순절하였으며 수많은 백성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그리고 두 전란은 끝이 났고 동래성은 폐허로 방치되었다가 1731년인 영조 7년에 동래부사로 부임한 정언섭에 의해 나라의 관문인 동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무너진 성을 다시 더욱 크게 수축하였습니다.











그에 관한 기록이 지금 북문 안에 세워져 있는 내주축성비에 기록으로 남아 있습니다. 증축된 성의 규모는 약 3.8km이며 오늘날에 복원된 동래읍성도 그때의 흔적을 기초로 하였습니다. 동래읍성에는 동문을 지희루, 서문을 심성루, 남문은 무우루라 부르면서 익성을 두었습니다.











동서남북 사대문에 문루가 있었으며, 은일루인 암문과 인생문, 남문의 앞쪽에 세병문이, 뒤쪽은 주조문의 이중구조였고 그 외 북문·서문·동문은 옹성을 쌓아 적이 성문을 쉽게 공격할 수 없도록 하였습니다. 그러나 동래읍성은 일제강점기에 들어와 다시 한 번 헐리는 아픔을 겪었습니다.



서장대








일제는 시가지 정비계획을 세우면서 평지의 동래읍성을 모두 철거하였습니다. 지금 복천동과 안락동 등 평지에는 읍성의 흔적은 전혀 찾을 수 없으며 그 터만 알리는 작은 빗돌만 세워져 당시의 가슴 아픈 흔적을 말해줍니다. 복원된 동래성은 북문·인생문·서장대·북장대·치성과 여장 등이 현재 있습니다.





 




(부산동래여행/부산동래가볼만한곳)동래읍성 내주축성비. 동래읍성 수축을 기록한 내주축성비


부산시 동래구 복천동 일대에 세워진 동래읍성은 임진왜란 때 동래부사 송상현과 동래 읍민의 죽음을 불사한 항쟁의 피가 남아 있습니다. 송상현 부사는 왜장인 고니시 유키나가는 나무막대에다 ‘명나라를 치기 위한 길을 빌려 달라”며 글을 썼어 성문 앞에 세워둔 것을 보고 송상현 부사는 ‘전사이가도난(戰死易假道難)’이라 적은 나무토막을 던지며 끝까지 항쟁하다 동래성과 함께 순절하였습니다. “싸워서 죽기는 쉬워도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란 뜻의 ‘전사이가도난(戰死易假道難)’은 동래성전투와 함께 길이길이 후손에 남아 작금의 지금까지도 전해오고 있습니다. 그 송상현 부사와 백성들이 목숨을 걸고 지키자 했던 동래성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두 전란이 끝나면서 무너진 성벽은 더욱 황폐해져 갔습니다.







2016/10/13 - [여행] - (부산여행/동래여행)동래복천동고분군, 삼국시대 고분군 동래복천동고분군을 여행하다. 복천동고분군

2016/10/12 - [여행] - (부산여행)동래 장관청.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처음 가봤던 동래 장관청 건물이 지금은 해체·복원 공사가 진행중. 동래 장관청

2016/10/11 - [여행] - (부산여행)동래부관아 망미루. 동래부동헌 앞에 세워졌던 망미루가 현재 부산의 대표적인 2층 누각건물입니다. 동래부관아 망미루

2016/10/08 - [여행] - (부산여행/부산가볼만한곳)송공단. 임진왜란 때 동래성 전투에서 산화한 송상현을 모신 제단 송공단 참배



 




최근에 복원된 동래읍성의 북문 앞에는 ‘내주축성비(來州築城碑)’란 비석이 있습니다. 이는 부산광역시 지정 기념물 제16호로 지정되었는데 1731인 영조 7년에 당시 동래부사였던 정언섭이 임진왜란과 함께 폐허가 된 동래읍성을 대대적으로 고쳐 쌓은 사실을 기념하며 1735년에 세운 비석입니다. 동래읍성의 비망록이라 할까요?. 비명을 보면 읍성의 둘레가 대략 1.4km, 성벽의 높이는 3.9m, 1731년 1월에 성터를 측량하고 경상도 65개 군에서 52,000명의 인원을 동원했다는 것을 보면 당시 동래읍성의 수축규모를 알 수 있습니다. 연인원 417,050명에 쌀 4,585석, 베 1,552필과 13,454냥의 막대한 돈이 들어간 공사로 4월부터 성벽을 쌓았습니다. 그리고 5월에 성문을, 7월에는 문루를 완공했다 하며 이때 수축공사로 동래성의 둘레는 약 3.8km에 성벽의 높이는 5.1m가 되었습니다.




복원 된 동래읍성 북문



비신의 앞면은 이 모든 축성에 관한 사실을 20행으로 기록하였고, 뒷면에는 축성에 동원된 임원 명단을 새겨 놓은 그야말로 동래읍성의 수축에 관한 모든 기록물이라 하겠습니다. 비의 높이는 422cm, 넓이는 108cm 규모의 비석으로 이수는 한 쌍의 용이 여의주를 물고 있으며 비석의 받침돌은 연꽃무늬가 조각된 아주 소박한 모습입니다. 비문은 황산도 찰방이던 김광악이 짓고 글씨는 송광제가 썼습니다. 그리고 비신의 전자는 현풍 현감 유우기의 글씨입니다. 이 내주축성비는 동래읍성의 중요한 연구자료로서 조선 후기 축성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입니다. 원래 내주축성비는 동래읍성 남문 밖에 있었으며 일제강점기 때 시가지정비계획으로 헐릴 위기에 처하자 1930년경 망미루와 함께 이전하였습니다. 내주축성비는 금강공원 내에 있던 독진대아문 뒤편으로 옮겨졌으며 2012년 10월에 지금의 동래읍성 북문 안으로 다시 옮겨왔습니다.





내주축성비주소: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산 3-2 일원



(부산여행/부산가볼만한곳)동래부관아 망미루. 동래부동헌 앞에 세워졌던 망미루가 현재 부산의 대표적인 2층 누각건물입니다. 


동래시장 인근에 동래부관아가 복원되어 지나는 길에 보게 되었습니다. 복원된 동래부관아 중에서 가장 내마음에 남아 있는 건물이 맨 왼쪽에 복원된 망미루로 2층의 문루입니다. 그러니까 1층은 문이고 2층은 누각인데 이 건물은 필자가 어렸을 때의 추억이 있습니다.






 

 


원래 자리에 옮겨오기 전에는 동래구 온천동 금강공원 입구에 있었습니다. 금강공원을 오르는 입구에 웅장한 모습으로 서 있었는데 초등학교 때니까 벌써 40년도 훨씬 더 지난 세월입니다. 같은 부산의 하늘 아래에 살면서도 좀체 갈 기회가 없었지만, 항상 생각이 나는 게 어릴 적 뛰놀던 망미루였습니다.


 

 


그 망미루가 제 위치로 다시 옮겨 복원되었다니 정말 반가웠습니다. 반가움에 앞서 망미루 포스팅을 합니다. 망미루는 원래 지금의 자리 바로 옆 그러니까 수안파출소 앞에 있었습니다. 현재에는 그 자리에 망미루 터를 알리는 작은 빗돌이 서 있으며 원래 자리로 복원한다며 바로 30m 옆 동래부 관아 내에 비딱하게 세워져 있습니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복원을 제대로 하여 망미루의 누각 문을 열고 그쪽으로 사람을 드나들게 하면 더욱 좋았는데 아쉽게도 그런 기능은 하나도 없고 그저 형태만 갖추어 복원된 모습이 많이 아쉽습니다.


 

 


망미루는 조선 후기인 1742년 영조 18년에 동래부사 김선일에 의해 동래부 동헌 앞에 세워졌습니다. 망미루는 1895년 고종 32년에 동래도호부가 동래관찰사영으로 승격하면서 포장사라 불렀고, 누각에는 동래읍성 사대문을 여닫는 시간과 정오를 알리는 큰북이 걸려 있었습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시가지 정리를 한다며 망미루 철거를 단행하자 지역민들이 단합하여 경비를 모금해 1930년경에 온천장의 금강공원 입구로 옮겨 가 자리를 잡았습니다. 1970년에 한 번 해체복원을 하였으며 그 뒤에도 소소한 수리가 이루어지다 2014년 민족정기를 되찾자는 취지와 문화재 관리 차원에서 동래부 동헌을 복원하면서 안으로 옮기게 되었습니다.


 

 


망미루는 앞면 3칸에 옆면 2칸의 중층 누각인 겹처마 팔작지붕건물입니다. 일반 누문에 비해 누각의 규모가 높고 큰데 이는 누각 아래로 사람이 통행하였기 때문입니다.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관아 대문으로 부산지역을 대표하는 건물입니다.


 

 

 

 


또한, 누각 기둥을 받치는 긴 돌기둥인 장초석은 누각의 안전을 보안함과 동시에 위엄을 갖추었으며 누마루는 귀틀마루를 깔고 마루 외곽은 계자난간으로 돌렸습니다. 일반의 누각은 산천의 경치를 보기 위해 천장을 높여 탁 트이게 하는 게 보통인데 동래읍성의 망미루는 천장이 낮은 게 외부에서의 공격에 대비한 방어와 감시용의 건물임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망미루의 앞쪽에는 ‘동래도호아문’이, 반대편인 안쪽에는 ‘망미루’의 편액이 걸려 있습니다. 또한 망미루(望美樓)는 임금의 명으로 한양에서 내려온 동래부사가 임금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기 위하여 2층의 누각을 망미루라 부른대서 유래하며 1919년 동래장터에 울려 퍼진 3.1 운동의 시발점이 망미루입니다.


 

 

 

 


이곳 누각에서 만세삼창으로 시작되었으며 우리에게는 민족의식을 고취시켜준 건물로 일제는 아마 악착같이 허물려고 했을 것 같습니다. 그 때문인지 동래성의 흔적은 진짜 돌멩이 하나 찾을 수 없을 정도로 깡그리 사라졌습니다. 최근에 와서 마안산 일원에 동래성이 복원되었고 동래부 관아도 복원하였습니다.


 

 


망미루 복원에 사용된 부재는 최대한 기존의 부재를 다시 사용하였으며 붉은 단청은 복원과 함께 벗겨내고 지금은 원래의 나무 결이 그대로 드러나 있습니다. 1972년 6월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2호에 지정되었습니다.

 

 

 동래부 관아(동래부동헌)


동래부 관아 주소: 부산시 동래구 수안동 421-56(수안치안센터 건너편)



18세기 동래성 모습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