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여행/창녕여행)창녕문화공원. 동요 산토끼를 상징하는 토끼 조형물 창녕문화공원 여행


창녕에서 두 번째 찾았던 공원은 창녕군을 대표하는 창녕문화공원입니다. 

창녕문화공원은 창녕군청 뒤의 야트막은 산봉우리와 창녕의 진산인 화왕산을 푹 담근 명덕저수지, 창녕향교를 아우르는 7만 평의 넓이로 보는 재미와 걷는 재미가 쏠쏠한 군민공원이었습니다.





창녕문화공원 주소: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 398




2018/04/03 - [여행] - (경남여행/창녕여행)창녕 만옥정공원, 진흥왕척경비 창녕척화비 창녕객사 퇴천삼층석탑 만옥정공원

2017/11/26 - [여행] - (경남여행/창녕영산여행) 영산 만년교. 13세 소년의 신필 만년교 비석과 돌다리를 보다.

2017/11/22 - [여행] - (경남여행/창녕여행)창녕석빙고, 조선시대 얼음창고 창녕석빙고





창녕문화공원을 구성하는 시설물은 한여름 무더위를 날려주는 분수대와 화왕산과 창녕 읍내의 빼어난 전망을 선사하는 팔각정, 산새 소리를 들으며 여유롭게 걷는 산책로, 108개 번뇌를 씻어준다는 108계단, 어린이들이 마음 놓고 뛰놀 수 있는 놀이터 등이 있으며 공원과 연계된 수변 생태공원인 명덕저수지가 있습니다.

 


휴식과 산책을 동시에 겸할 수 있는 힐링 공간으로 다양한 수생식물을 심어 어린이의 자연학습장으로 최고의 볼거리를 제공합니다. 

또한, 공원 인근에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212호인 창녕향교와 교동 고분군까지 갖추고 있어 천혜의 자연경관을 자랑합니다.

 


인양사를 창건하면서 세웠다는 인양사 조성비를 보고 찾았던 창녕문화공원은 다른 공원과 다르게 창녕의 지명과 문화라는 이름이 붙어 무엇인가 특별한 공원이구나 싶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창녕은 동요 산토끼의 고장으로 ‘산토끼노래동산’이 있습니다. 

대한민국 어린이는 물론이고 청장년층까지 “산토끼 토끼야 어디를 가느냐~“로 시작하는 산토끼 동요는 모르는 분이 없는 국민동요입니다.





이 산토끼 노랫말은 1928년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안리 당시 이방보통학교에 재직했던 이일래(1903~1979) 선생이 지었습니다.

학교 뒷산 고장산을 올랐다가 자유롭게 뛰어다니는 산토끼를 보고서 생각한 노랫말입니다.

일제강점기의 나라 잃은 우리 민족도 하루빨리 나라와 억압에 빼앗겨버린 자유를 되찾을 수 있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에서 만들어진 동요라 합니다.


창녕문화공원



저도 창녕문화공원의 산토끼 조형물을 만나면서 새삼스럽게 산토끼의 노랫말에 많은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창녕문화공원의 탄생은 바로 이 노랫말인 ‘산토끼’에서 나온 게 아닌가 싶었습니다. 

나라의 보배인 어린이를 위한 놀이터 시설 등이 참 잘되어 있어 가족공원으로서도 최고였습니다.





108계단을 오르다가 왼쪽의 덱 길을 따라 올랐습니다. 

키큰 나무가 서 있는 오솔길을 오르면 어느덧 봉우리에 팔각정 전망대에 닿습니다. 

창녕의 진산인 화왕산이 시원스럽게 펼쳐지며, 창녕읍내를 세세하게 내려다보는 그야말로 일급조망이 펼쳐지는 그런 곳이었습니다. 

이날 날씨가 흐려서 많이 아쉬웠지만 맑은 날이면 전망은 끝내줄 듯합니다.





 재미있게 산토끼를 풍자화한 조형물을 보면서 함박웃음을 지어도 보았습니다. 

산책로를 따라 명덕저수지로 발걸음을 옮겼습니다. 

가다가 보니까 사직단을 알리는 이정표가 있었습니다. 

무엇인가 싶어 올라가보기로 했습니다. 

사직단은 ”토지의 신 사(社)와 곡식의 신 직(稷)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합니다. 

그런 곳이라 하면 아주 신성시했던 곳 같았습니다.











창녕현 사직단의 기록은 1530년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처음 등장하며 『여지도서』, 『경상읍지』, 『조선후기지방지도』, 『교남지』 등의 문헌에 나타나 있습니다. 

기록에 의하면 현의 서쪽 1리에 위치한다고 하며 지금의 사직단과 위치나 방향 등 모든 게 일치하며 창녕 사직단은 16세기 이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창녕사직단







창녕은 6·25 한국동란의 최고 격전지였던 낙동강 방어선 중 한 곳인 박진 나루터와 오항 나루터, 남지 등을 방어했던 미 제24사단이 북괴의 제4사단을 맞아 많은 병력을 희생하면서 지켜내었던 곳입니다. 

이곳에 세워진 ‘6.25 월남 참전기념비’를 보면서 이분들의 희생으로 대한민국이 있다는 사실과 6·25 참전 용사로 전투에서 부상을 입어 의가사 제대를 하셨던 돌아가신 아버님을 생각했습니다.

월남 참전비를 보면서 이분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묵념을 올렸습니다.

 








이제 명덕저수지입니다. 생태공원답게 수변공원을 따라 덱 길이 잘 만들어져 있었습니다. 

참 반영이 아름다웠습니다. 누가 잔잔한 호수에 돌을 던져 저 아름다운 반영을 깨트리면 어쩔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연못은 고요했습니다. 

연못을 돌아 창녕향교로 향했습니다.

 



창녕명덕저수지 명덕수변공원








창녕향교

창녕향교는 외삼문이 굳게 닫혀있어 내부를 볼 수 없었으며 까치발로 들여다보았습니다. 

창녕 지역 유림이 건립했으며 공자의 위폐 봉안과 외삼문과 동·서재, 강학소인 명륜당, 동·서무, 제향 영역인 대성전으로 구성했습니다. 

창녕향교는 명륜당 뒤로 제향 공간인 대성전을 둔 전형적인 전학후묘(前學後廟)의 양식을 따랐습니다.



특이한 점은 석축을 쌓은 석재 중에 연꽃무늬가 새겨진 사찰의 기단, 면석 등이 섞여 있는데 이는 폐사된 인양사의 부재를 사용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높게 석축을 쌓고 명륜당을 세웠으며 앞면5칸, 옆면 2칸의 홑처마 팔작기와지붕입니다. 

명륜당의 둥근 나무 기둥을 받치는 둥근 돌기둥의 주춧돌에 명륜당은 더욱 웅장하며 위엄이 느껴졌습니다.



창녕향교의 정확한 건립연대는 알 수 없지만, 조선 효종 원년인 1650년에 한 차례 중건되었고 여러번 중수가 있었다 합니다. 

다시 명덕저수지로 돌아와 수변공원을 가로지르는 덱 길을 걸으면서 창녕문화공원 여행을 마무리 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