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여행)의성김씨학봉종택. 의성김씨학봉종택과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를 운장각에서 보다.


이번에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봉정사를 보려고 찾았던 안동여행에서 먼저 만나는 안동 의성김씨 학봉종택입니다. 

봉정사와 함께 볼 수 있는 곳입니다. 

학봉 김성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사후에 1679년(숙종5년) 문충 시호를 받았습니다.




의성김씨학봉종택 주소: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855

의성김씨학봉종택 전화:054-672-2575


2018/07/31 - [여행] - (경북여행/안동여행)일직면 안동 소호헌. 안동소호헌 여행

2018/07/27 - [여행] - (안동여행)안동이천동석불상. 안동제비원석불

2018/07/18 - [여행]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천등산 개목사 원통전. 개목사 원통전

2018/07/16 - [여행]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명옥대. 안동 봉정사 입구 명옥대 여행

2017/06/14 - [맛집] - (안동맛집)맛50년 헛제사밥. 제사음식 그대로 맛보는 곳 안동 전통음식 헛제삿밥, 맛50년 헛제사밥



학봉 김성일 하면 황윤길과 함께 조선통신사 일원으로 조선침략의도를 정탐하기 위해 일본으로 간 분입니다. 

그리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정은 학봉선생을 경상도 관찰사 초유사로 임명하여 전란을 막도록 했습니다. 

먼저 학봉김성일선생 종택을 보기 앞서 학봉선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학봉김성일선생은 앞에서도 이야기했지만 황윤길과 조선통신사로 참여하여 일본의 조선침략의도를 파악하려고 동행합니다. 

조선통신사의 업무가 끝나고 김성일과 황윤길은 조정에 보고하였습니다. 

황윤길은 조만간 전쟁은 반드시 일어난다며 전쟁설을 보고하지만, 김학봉은 그와 반대로 일본은 전쟁을 일으킬 꿈도 꾸지 않는다며 전쟁불가 설을 서로 상반 댄 주장을 펼쳤습니다.





그러나 황윤길의 보고대로 일본은 전쟁을 일으켰고 조정은 김성일에게 파직과 함께 참형하라는 명을 내렸습니다. 

이에 류성룡은 김성일에게 왜 그런 보고를 하였느냐고 묻자 김성일은 그때야 반드시 전쟁이 일어난다고 하면서 왜란의 가능성을 부정한 게 아니라 전쟁이 일어 나기도 전에 온 나라가 도탄에 빠지는 것을 막는 게 더 시급하다는 판단을 하여 그런 보고서를 올리게 되었다 하였습니다.





류성룡은 선조에게 나아가 지금 전쟁으로 시국이 혼란한데 김성일만이 이 어려운 난국을 타개할 수 있다며 다시 등용할 것을 청했습니다. 

선조는 경상도관찰사초유사로 임명하였고 학봉선생은 경상도로 내려와 의병장 김성일과 정인홍 등을 도와 왜군을 막는데 힘썼습니다.

 




진주성 전투에서 김시민장군이 죽자 학봉선생은 진주성을 수성하는 막중한 책임을 맡게 되었습니다. 

왜적은 군량미 확보를 위해 곡창지역인 호남평야로 진격하려고 진주성을 침공한다는 계획을 미리 알고는 의병과 힘을 모아 진주성 전투를 승리로 이끌어 왜적에게 큰 타격을 입혔습니다.

 




이 승리로 호남평야는 지켜낼 수 있었고 진주성 전투가 임진왜란 3대첩 중 하나인 진주대첩입니다. 

학봉선생은 1593년 왜적의 재침에 대비하다가 진주성에서 병사했습니다. 

의성김씨학봉종택은 들어서는 삼문 입구에 ‘학봉선생구택’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앞면 5칸에 옆면 1칸인 대문채를 지나면 진초록의 잔디가 깔린 마당에 들어섭니다.

 


넓은 정원에는 유실수와 소나무와 다양한 문양석이 관광객의 눈을 즐겁게 해줍니다. 

마당을 이리저리 다니며 구경을 했다면 본격적인 학봉구택을 둘러보겠습니다. 

학봉선생은 퇴계 이황의 제자였으며 류성룡과 함께 성리학의 학통인 영남학파의 양대산맥으로 추앙 받는 분입니다



학봉종택은 원래 이곳에 있었으나 저지대로 조금만 비가와도 물이 들이쳤던 모양입니다. 

그래서 1762년(영주38년)에 100m가량 떨어진 곳에 옮겼습니다. 

1964년에 다시 현재의 위치로 안채만 옮겼으며 사랑채는 그곳에 남겨두고 소계서당으로 사용하게 하였습니다. 

학봉종택의 사랑채는 한일자 건물이며 안채로 들어서는 출입문은 열려 있고 왼쪽의 닫힌 문은 부엌문입니다.



안채에는 현재에도 김성일 후손이 거주하는 공간이며 사생활을 침해할까 싶어 출입을 삼가는 게 좋을 듯해서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안채는 오른쪽에 3칸의 대청을 두었고 왼쪽에 2칸의 안방으로 꾸몄습니다. 그 끝에 부엌이 붙은 전형적인 경상북도 양반가옥의 ‘ㅁ’자형 구조입니다.



사랑채는 앞면 4칸, 옆면 3칸으로 2칸은 온돌방이며 2칸은 마루입니다. 

4칸의 사랑채 앞면에 길게 툇마루를 달고 계자난간을 돌렸습니다. 

1963년 옮겨오면서 새로 지었으며 칸마다 각각의 현판이 달렸습니다. 

사랑채 옆에는 운장각(雲章閣) 건물이 있습니다. 운장각 안에는 학봉 김성일 선생의 유물과 유품이 보관되어 있습니다. 



국가 문화재인 보물이 수두룩해서 그런지 출입문이 잠겨 있습니다. 

‘운장’은 "탁피운한(倬彼雲漢) 위장우천(爲章于天)”에서 한자씩 따왔는데 “저 높은 은하수처럼 하늘 가운데서 맑게 빛난다”라는 뜻입니다. 

이 앞에도 안동여행을 하면서 학봉종택을 방문했으며 이번에도 학봉종택을 찾았으나 운장각은 개방되지 않고 굳게 문이 잠겨 있었습니다.

 


오늘은 안동에 관계되는 분인지 단체관광객이 찾아 왔으며 그분들과 인사를 하려고 학봉김성일선생 종손되시는 분이 하얀 계량한복을 입고 나오시는 것을 보았습니다. 

단체 관람객은 가시고 잠시 있다가 우리보고 어디서 오셨느냐고 물으시기에 부산서 왔습니다. 하고서 "저기 운장각은 평소 개방을 하지 않는가 봅니다" 하며 여쭈었습니다.

 



종손분이 "예" 하시면서 "큰 카메라를 들어 신 거 보니까 어디 사진 찍으러 다니시는 분입니까" 하시며 운장각을 한번 보여 주겠다고 흔쾌히 가자고 했습니다.

 내심 많이 기뻤습니다. 

기쁜 마음에 운장각으로 따라갔습니다. 

번호 키가 달려 있으며 완벽하게 관리하고 있었습니다.

 




여러 종류의 수많은 책과 병풍이 보관되어 있고 오른쪽 금고도 열어주시면서 내부를 공개했습니다. 

그곳에는 보물로 지정된 학봉김성일 선생의 경연일기, 해사록과 선생의 친필 유고와 사기, 고려사절요 등 조선 초기에 간행된 전적 56종 261점과 교지, 편지 등 고문서 17종 242점 등 총 73종 503점이 보물로 지정되어 보관되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학봉선생의 유물인 안경, 벼루, 말안장, 신발 등 400여 년이 넘었다는 선생의 유품을 보면서 후손들의 정성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양해를 구하고 휴대전화로 사진 몇 장을 담았습니다. 

이번 안동 학봉김성일 선생 종택여행을 하면서 저에게는 큰 수확이라면 운장각에 보관된 선생의 유품과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를 만났던 거였습니다.

 














덕분에 좋은 구경 했습니다. 그 옆에 또 다른 건물은 풍뇌헌입니다. 

누각형태로 지어졌으며 앞면 4칸에 좌우 각 1칸은 온돌방을 깔고 가운데 2칸은 마루를 넣었습니다. 

앞에는 툇마루에 난간을 둘렀습니다. 

처마는 겹처마를 넣어 건물의 품위를 한껏 높혔습니다.

 



학봉 김성일선생 기념관



(경북여행/안동여행)일직면 안동 소호헌. 안동소호헌 여행


우리나라 고찰 일곱 군데가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하여 그 기념으로 안동에 있는 천등산 봉정사를 여행했습니다. 

봉정사는 그 이전에도 둘러보았으나 우리나라에서 드물게 두 동의 고건축물이 국보에 지정될 정도로 유서 깊은 사찰입니다.




안동 소호헌 주소: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562



2018/07/27 - [여행] - (안동여행)안동이천동석불상. 안동제비원석불

2018/07/18 - [여행]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천등산 개목사 원통전. 개목사 원통전

2018/07/16 - [여행]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명옥대. 안동 봉정사 입구 명옥대 여행

2017/06/14 - [맛집] - (안동맛집)맛50년 헛제사밥. 제사음식 그대로 맛보는 곳 안동 전통음식 헛제삿밥, 맛50년 헛제사밥




안동의 여러 곳을 여행하고 난 뒤 부산으로 돌아오려고 남안동 톨게이트로 빠져나가도록 계획을 세웠습니다. 

그 이유는 안동 일직면의 보물 제475호인 소호헌과 보물 제57호 조탑동 5층 모전 석탑을 찾아보기 위해서였습니다. 

조탑동 5층 모전 석탑은 찾아보려고 했으나 잘 일정과 맞지 않아 이번에 꼭 보고와야겠다는 생각을 하며 안동여행을 떠났습니다.



안동에서 내비게이션에 조탑동 5층모전석탑을 찍고 출발했습니다. 

조탑동에 도착해서 마을의 모전석탑을 찾아보았으나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가는 날이 장날이라는 속담이 있듯이 하필 꼭 조탑리오층모전석탑을 보고와야겠다는 생각으로 찾았더니 이번에는 모전석탑을 분해해서 복원하려는지 가림 건물을 세워놓아 외부에서는 볼 수 없게끔 해놓았습니다.

 


그런데 모전석탑 안내판을 보다가 아동문학가 권정생선생 생가가 있다는 안내판을 보았습니다. 

같이한 부부는 권정생의 안내판을 보고는 “생가가 여기에 있네”하면서 “꼭! 저기 가봐야 한다”고 했습니다. 

저는 권정생이 사실 조금 생소했지만 ‘몽실언니’의 작가라는 말을 듣고 ‘아! 그분이구나’ 싶었습니다.



생가를 보고 난 뒤 다시 소호헌을 찾아갔습니다. 

그런데 소호헌을 들어서는 솟을대문의 문이 꽉 닫혀 있었습니다. 

아직 해는 남아 있었지만, 너무 늦어서 문을 닫은 듯했습니다. 

답답한 마음에 발을 동동그렸습니다. 

자세히보니 문간채에 붙은 작은 방의 창문이 열려 있어 후손인지 관리인이 있어 보였습니다.



양해를 구하고 볼까 하다가 괜히 싶어 담장 밖에서 왔다갔다하며 까치발을 들고 겉모습만 보았습니다. 

그런데 거리가 너무 멀어서 마음먹은 대로 볼수없었는게 많이 아쉬웠습니다. 

소호헌은 안동 법흥동의 고성이씨 임청각 이명의 5남인 청풍군수를 지낸 무금정 이고가 분가하면서 건립한 집입니다.



그 후 이고는 외동딸에게 장가 온 사위 대구 서씨인 함재 서해(1537~1559)에게 물려주었습니다. 

현재 대구서씨 종중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서해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정지이며 호는 함재에 저서로는 『함재집』이 있습니다. 

퇴계 이황의 문하에서 수학했던 분으로 소호헌은 서해선생이 서재로 사용한 별당건물입니다.



소호헌은 앞면 4칸에 옆면 2칸의 규모에 왼쪽 3칸은 대청을, 오른쪽 1칸은 누마루를 넣었습니다. 

누마루와 붙은 대청 앞면에 직각으로 꺾어서 2*1칸의 방을 드렸습니다. 

소호헌은 위에서 보면 ‘T'자형입니다. 

지붕은 옆면에서 보면 여덟 팔(八)자 모양의 팔작지붕이며 부속된 방은 사람 인(人)자인 맞배지붕건물로 지어졌습니다.



대청과 누마루 사이에는 사분합의 띠살문을 달아 개방하도록 하였으며 누마루에서 방에 붙은 툇마루에는 난간을 돌렸습니다. 

누마루를 빼고는 축대를 높이 쌓았으며 주춧돌 위에 건물을 받치는 기둥을 바로 세우지 않고 평방 모양의 귀틀을 짜 돌려 그 위에다 기둥을 세운 건물로 조금은 특별하게 지어졌습니다.

초익공 계통의 공포와 창방머리의 격이 높은 조각수법, 대들보는 주두(암술머리) 위에 얹었으며 포대공을 놓고 종량과 종두리를 받치게 하였습니다. 

 


종량 위에는 파련대공을 세웠으며 합장형의 소슬도 보이는데 주택건축에서 소슬 대공을 사용한 예는 소호헌 이외에는 아직 없다고 합니다. 

그만큼 특별한 건물로 보입니다. 

안동시청 문화관광 홈페이지의 소호헌을 보면서 늦게 소호헌을 찾은 저를 더욱 안타깝게 했습니다. 

다음 안동 여행을 할 때는 우선하여 일직면의 소호헌과 조탑동 5층 모전석탑을 꼭 만나야겠습니다. 




(안동여행)안동이천동석불상. 안동제비원석불


안동에서 가장 독특한 석불을 보고 왔습니다. 

큰 자연석에 따로 바위를 올려 불두를 새겼는데 전체 크기가 12.39m인 아주 큰 불상입니다. 

이천리석불이라 불리는데 제비원 석불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자연석의 큰 바위에다 몸을 얕게 새겼으며 부처 머리를 따로 올린 마애불 형태입니다.




안동 이천동석불상 주소:경상북도 안동시 이천동 산 2



2018/07/18 - [여행]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천등산 개목사 원통전. 개목사 원통전

2018/07/16 - [여행]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명옥대. 안동 봉정사 입구 명옥대 여행

2017/06/14 - [맛집] - (안동맛집)맛50년 헛제사밥. 제사음식 그대로 맛보는 곳 안동 전통음식 헛제삿밥, 맛50년 헛제사밥




서쪽으로 향한 제비원 석불은 자세히 볼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멀리서 보아야만 전체를 알수 있습니다.

워낙 큰 석불이다 보니 밑에서 보는 게 한계가 있습니다. 

불두를 자세히 보면 뒷부분이 수직으로 잘려나간 것을 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따로 돌을 올려 머리 가운데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를 큼지막하게 만들어 올렸습니다.





얼굴은 통통하여 풍만하며 두 눈썹 사이에 백호를 양각했으며 좁으면서 길게 실눈을 뜬 듯한 눈과 그 위에 반원형의 짙은 눈썹을 표현했습니다. 

우뚝 솟은 코와 다부져 보이는 입술에 옅은 미소를 머금었고 목에는 삼도를 새겨 전체적으로 잘 생긴 미남형의 얼굴입니다.

 




그리고 자연석에 새긴 몸체에 걸친 법의는 양어깨를 감쌌고 자연스럽게 흘러내린 왼쪽 어깨의 옷 주름과 오른쪽의 법의 자락이 서로 교차해 접혀 있습니다. 

가슴 밑으로는 속옷의 띠가 보이고 양손은 모두 엄지와 가운뎃손가락을 맞대었으며 오른손은 배에 왼손은 가슴에 올린 형태의 입상입니다.





발아래에 불상을 받치는 큰 연꽃 대좌를 음각했습니다. 

이천동의 석불은 'ㄷ'자 형태이며 원래에는 보호하는 기와지붕이 있었다는 것을 17세기 초의 안동읍지인 영가지에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제강점기 초기에도 부처 머리 위에 닫집이 있었다 합니다.


 




지금은 당시 기둥을 세웠다는 흔적만 불상 어깨에 남아 있습니다. 

석불 아래 바위 끝에 연미사 중수기인 비석이 남아 있습니다. 

연미사는 634년 선덕여왕 3년에 명덕이 창건했다고 합니다. 

공식 명칭은 안동이천동석불상입니다.



마애의 불신과 불두를 따로 합해 만들어진 불상은 통일신라 후기와 고려 전기에 유행했던 양식으로 안동 이천동석불상도 이시기인 고려 시대에 제작된 석불상입니다. 

1963년 1월에 보물 제115호에 지정. 안동 이천동석불상은 제비원 석불이라 부르는데 이는 미륵불이 있는 넓은 공원이 오래전에 원(院)이 있었던 곳입니다.



원은 요즘으로 치면 여관이며 여행객이 쉬었다 가는 곳입니다. 

연미사는 교통의 중요한 길목에 있는 사찰이라 국가에서 출장을 가는 관리의 숙소로 국가에서 지정하여 사용했던 모양입니다. 

그리고 지금과는 다르게 석불상 위로 기와지붕이 올려진 게 꼭 제비와 닮았나 봅니다.

 




그래서 연자루(燕子樓)라 했는데 그 끝에다 요사를 짓고는 제비의 꼬리를 뜻하는 연미사가 되었으며 석탑 밑 법당은 제비부리에 해당하여 연구사라 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