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여행/안동여행)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 안동 봉정사를 만나다. 안동봉정사 세계문화유산. 


이번에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에 우리나라 전통사찰 7곳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하나같이 모두 유명사찰의 타이틀을 달고 있지만 두 동의 국보 건축물을 보유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안동의 봉정사를 여행하고 왔습니다. 

봉정사는 국보인 대웅전과 극락전 이외에도 여러 국가 문화재를 보유했습니다.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 등재 안동봉정사 주소: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01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 등재 안동봉정사 전화:054-853-4181



2018/08/05 - [여행] - (안동여행)의성김씨학봉종택. 의성김씨학봉종택과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를 운장각에서 보다.

2018/07/31 - [여행] - (경북여행/안동여행)일직면 안동 소호헌. 안동소호헌 여행

2018/07/27 - [여행] - (안동여행)안동이천동석불상. 안동제비원석불

2018/07/18 - [여행]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천등산 개목사 원통전. 개목사 원통전

2018/07/16 - [여행]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명옥대. 안동 봉정사 입구 명옥대 여행

2017/06/14 - [맛집] - (안동맛집)맛50년 헛제사밥. 제사음식 그대로 맛보는 곳 안동 전통음식 헛제삿밥, 맛50년 헛제사밥




단일사찰로 규모보다 이리 많은 문화재를 보유한 사찰을 찾기 힘들 정도로 봉정사는 숨겨진 보배로운 사찰입니다. 

봉정사 입구에서 내려 키 큰 나무가 그늘을 만들어 놓은 길을 걸었습니다. 

천연 고찰을 만난다는 설렘을 진정도 시키면서 산사의 진한 풀 내음과 청량한 공기를 마음껏 음미하기 위해서였습니다.



2016년에도 봉정사 여행을 했지만 2년 만에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을 만난다고 생각하니 내 마음이 다 설렜습니다. 

일주문을 지나면서 오르막이라 다시 한번 숨을 크게 돌려야 했습니다. 

막바지에 봉정사 오르는 돌계단을 두고 푸름을 잃지 않은 굵은 소나무가 무더위에 그늘을 만드는 양 길가에 드러누워 관광객을 맞이했습니다.



봉정사에는 따로 천왕문이 없으나 이 소나무가 천왕문 역할을 하는 듯 당당합니다. 

계단을 올라서면 봉정사 출입문인 누각형태의 만세루가 있습니다. 

일자로 길게 늘어선 게 세월의 더께를 느껴질 정도로 오래되어 보입니다.



봉정사 만세루는 1680년(숙종6년)에 처음 세워졌습니다. 

창건 후에는 덕휘루(德煇樓)라 불렀다 하나 언제부터 만세루가 되었는지는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고 합니다. 

만세루의 특징은 봉정사의 출입문 역할을 하며 산비탈을 깎아서 봉정사 절터를 만들다 보니 자연스럽게 축대를 쌓아 평평하게 터를 다졌습니다.

 


만세루는 축대 가운데에다 걸친 형태로 그 아래에 출입계단을 내어 봉정사를 드나들도록 했습니다. 

그 때문에 대웅전에서 만세루를 보면 지면과 연결된 단층건물이지만 외부에서 보면 2층 누각형태입니다. 

봉정사 만세루는 앞면 5칸에 옆면 3칸의 크기로 옆에서 보면 사람인자모양을 한 홑처마 맞배지붕건물입니다.



마루가 깔린 만세루는 정자나 강당 역할 등을 담당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바닥은 우물 정자 모양을 한 우물 마룻바닥에 평난간을 돌렸습니다. 

특히 만세루에서 눈여겨 볼 점은 누각을 받치는 기둥입니다. 

다듬지 않은 자연형태인 기둥은 휘어진 게 찾는 사람의 마음을 경직되지 않게 편안함을 주며 언뜻 보면 봉정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여겨집니다. 

만세루는 장식을 거의 하지 않았으며 운판과 북,, 목어를 설치하였고 덕휘루 현판과 기문도 걸려 있습니다. 

유형문화재 제325호. 

만세루를 지나면 봉정사 경내입니다.

 


먼저 앞쪽에 사찰의 중심건물인 국보 제311호 대웅전이 있습니다. 

나라의 보물이 한점도 아니고 두 점이 있는 것은 극히 드문 일입니다. 

봉정사 대웅전은 가운데 석가모니부처님을 주불로 두고 좌우로 협시보살인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모셨습니다.



대웅전은 1962년 해체하여 복원하면서 나온 기록을 보면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 사이에 중창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를 뒷받침하듯 극락전 상량문과 천등산 봉정사기(1728), 양법당중수기(1809)인 묵서와 1999년 해체 수리하면서 봉정사 탁자 조성기, 법당중창기(1435), 정면 어칸 기둥 묵서(1436), 대웅전개연중수기(1601)등의 기문을 찾아내어 대웅전의 변천 과정을 알게 확인하는 중요한 자료가 되었습니다.


확인된 자료에서 1809년까지 9~10회 정도 대웅전을 보수했으며 그중 1361년인 공민왕 10년의 불단 묵서와 1428년 세종 10년에 불화기록, 1431년에 단청을 했다는 기록을 찾아내어 최소한 봉정사 대웅전은 1425년인 세종 7년 전후에 중창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봉정사대웅전은 앞면 3칸에 옆면 3칸의 크기로 옆에서 보면 여덟 팔자모양의 팔작기와지붕입니다. 

봉정사대웅전은 기존의 대웅전과 다르게 대웅전 앞에 조선시대 누마루 양식인 툇마루를 달아내었습니다. 

이는 고려와 조선 초기의 건물 양식을 접목한 형태로 눈여겨 볼만합니다. 

안동 봉정사에서는 대웅전보다 더 오래된 건물이 봉정사 극락전입니다.









극락전은 우리나라 최고의 건축물 중 하나이며 1971년 극락전을 수리하다 1625년 인조 3년에 작성한 상량문이 발견되었습니다. 

상량문에는 672년인 신라 문무왕 12년에 능인 대사가 창건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원효대사의 창건설로 알려졌었으며 1363년인 공민왕 12년에 극락전의 지붕을 수리했다고 기록한 것을 보면 훨씬 이전부터 극락전이 있었다고 보여집니다.



천등산은 대망산이라 불렀으며 능인대사가 대방산 토굴에서 수도에 전념하였고 그 과정에서 스님의 불력을 시험하려고 천녀는 능인에게 파계하여 속세에 내려가서 함께 살자고 유혹하였으나 부처님의 말씀을 따르는 게 불제자의 도리라며 완강히 거부하였습니다.



이를 지켜본 옥황상제는 등불을 내려 굴 안을 환하게 밝혀 수도 하도록 하였습니다. 

스님은 도를 깨치자 도력으로 봉황을 접어 날려 봉황이 내려앉은 곳에 봉정사를 창건했습니다. 

하늘에서 등불이 내려온 굴을 천등굴이라 하였고 산은 천등산이라 불렀습니다.

 



천등산 봉정사는 최근까지 6번의 큰 중수가 이루어졌으며 6.25 한국전쟁 때는 인민군이 주둔하는 등 많은 어려움과 곡절도 있었습니다. 

다행히 봉정사 불전은 오늘날까지 명맥을 유지하여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는 큰 기쁨을 누렸습니다. 

1999년에는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도 한국방문을 하면서 이곳을 다녀가기도 했습니다.

 




극락전은 아미타불을 봉안하여 아미타전 또는 무량수전이라 부릅니다. 

건물 내부에 두 개의 기둥을 세워 불당 벽을 만들고 그 앞에다 부처님을 보시는 불단을 만들었습니다. 

닷 집은 화려하지 않으나 섬세하게 꾸몄으며 대장전이라 불렸다가 극락전으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극락전 앞에는 고금당과 삼층석탑이 있습니다. 

고금당은 앞면 3칸에 옆면 2칸의 맞배지붕 단층 기와건물입니다. 

봉정사의 많은 목조 건물 중에서 미니어처처럼 가장 작아 보이는 건물로 당시의 독특한 건축기법에 시선을 끄는 건물입니다. 

1969년 해체 수리를 하는 과정에서 1616년 광해군 8년에 고쳐 지은 것을 확인했으나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다고 합니다. 보물 제449호.








고금당과 극락전 사이에는 고려시대 양식인 삼층석탑이 있습니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에 지정되었으며 이중 기단에 석탑의 기단부 일부는 깨어지고 상륜부는 분실되었으나 대체로 깔끔하며 양호한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봉정사는 대웅전과 극락전을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누는 데 그 역할을 담당하는 건물이 화엄강당입니다. 

봉정사의 오래된 건축물을 많이 접하다 보니 화엄강당의 연역도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이 목조건물은 몇 년쯤 되었는지 그 궁금증을 가지며 화엄강당을 차근차근 보았습니다.

 






화엄강당은 앞면 3칸에 옆면 2칸 크기로 주심포양식인 맞배지붕 건물입니다. 

양법당중수기에는 17세기에 대웅전을 고쳐 지었다고 합니다. 

이때 화엄강당도 새로 지어졌거나 수리된 게 아닌지 보고 있습니다. 

본전불을 모신 대웅전에 비해 간결한 장식으로 꾸몄는데 이는 법당과 강당의 차별을 두려고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화엄강당은 보물제488호.





봉정사 경내를 둘러보고  영산암으로 총총 발걸음을 옮겼습니다. 
















(충남여행/공주여행)춘마추갑 마곡사 여행. 태화산 마곡사 여행


춘마추갑의 태화산 마곡사 여행을 하고 왔습니다. 

여행은 벌써 하고 왔는데 이제야 블로그 포스트를 합니다. 

봄이면 마곡사라는 수식어처럼 마곡사는 사시사철 관광객으로 붐비지만 봄이면 더욱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습니다.




공주 태화산 마곡사 주소: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567

공주 태화산 마곡사 전화:041-841-6220




마곡사는 640년인 백제 무왕 41년에 신라의 고승 자장율사가 창건했습니다. 

그리고 1172년인 고려 명종 대 보조국사 지눌이 중수하였고 범일대사와 도선국사, 각순대사로 이어지면서 보수와 중수를 거쳤습니다.

또한, 조선의 세조는 마곡사에 영산전의 사액을 내렸을 정도로 유서 깊은 고찰입니다.



마곡사에는 보물 6점과 다수의 유형문화재 등 많은 문화재가 산재해 있습니다. 

보물로는 801호인 대웅보전, 802호인 대광보전, 800호인 영산전, 799호인 마곡사 오층석탑, 270호인 감지금니묘법연화경 권과 6권이 각각 269호, 270호에 지정됐습니다.




공주 마곡사 입장료 성인 3천원







이외에도 사천왕문, 해탈문, 청동향로, 괘불, 목패, 세조가 탔다는 연등은 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 

마곡사에서 일주문을 지나면 해탈문이 기다립니다. 

해탈문은 법계로 들어서는 문으로 마곡사의 출입문으로서 속세에서 부처님의 세계로 들어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앞면 3칸, 옆면 3칸이며 기둥 사이를 모두 판장벽으로 막았고 내부에는 금강역사와 보현밀 문수동자을 봉안했으며 겹처마팔작지붕 건물입니다.

1987년 충청남도문화재자료 제66호입니다.









그다음에 만나는 게 천왕문입니다. 

호법신장인 사천왕상을 모셨으며 마곡사를 지키는 수호신으로 악귀와 잡신을 물리칩니다. 

벌써 보기에도 우락부락한 게 험상궂게 생겼습니다. 

천왕문은 앞면 3칸에 옆면 2칸이며 겹처마맞배지붕 건물에 충청남도문화재자료 제62호에 지정했습니다.

 






마곡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은 영산전입니다. 

1650년에 중수했다고 하며 고려 시대 목불7구가 남아 있다 합니다. 

다리를 건너면 마곡사의 중심건물인 대광보전과 오층석탑이 나옵니다. 

마곡사의 중심을 잡는 것은 마곡사 오층석탑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만큼 정교한 게 특이하게 생겼으며 다보탑 또는 금탑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대광보전 앞에 딱 버티고 선 게 그만큼 웅장하며 보무도 당당합니다. 

2층 탑의 사면에는 ‘사방불’을 새겼으며 상륜부는 현재 국내 탑에서 하나뿐인 라마식 보탑과 비슷한 모양으로 청동으로 풍마등을 조성했습니다.





이를 보면서 마곡사 오층석탑은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닌가 추정하고 있습니다. 

특이한 모습의 이력답게 마곡사 오층석탑의 전설 또한 특이해서 이 탑이 나라의 기근을 사흘 동안 막을 수 있다는 전설입니다.

 


대광보전은 임진왜란 때 불탔다가 1788년에 중창했으며 특이한 배치로 대광보전 건물의 정면이 남쪽을 보고 있다면 내부에 모신 비로자나 부처님은 서쪽에서 동쪽을 보고 있습니다. 

대광보전에는 ‘삿자리를 짠 앉은뱅이’ 전설이 있습니다.





앉은뱅이가 부처님에게 공양할 삿자리를 짜며 자신의 업장소멸을 빌었다합니다. 

그 후에 앉은뱅이는 다리가 펴져 두 발로 걸어 나왔다는 전설이 있으며, 최근까지도 법당 안에 삿자리가 깔렸었다 합니다. 

대광보전 안에는 세조가 김시습을 만날 때 타고 왔다는 어가도 있습니다.























대광보전 뒤 높은 축대를 오르면 2층 구조로 지어진 대웅보전이 있습니다. 

내부는 통층으로 지어졌습니다. 

특이한 것은 전각 내부에 싸리나무 기둥을 4개 세웠으며 싸리나무 기둥을 안고 돌면 아들을 낳는다는 설화가 전해져 온다고 합니다.

 













그래서 지금도 많은 분이 이 싸리나무 기둥을 만지며 돌아 윤이 반질반질했습니다. 

대웅보전은 대웅전과 같은 뜻으로 법화경에 석가모니 부처님을 ‘큰 영웅’이라 한데서 나왔습니다. 

1785년 3년간에 걸쳐 중수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백밤김구선생이 머물렀다는 백범당이 있습니다. 

김구선생은 1896년 일본군 중좌를 살해하여 사형수가 되었으나 탈옥에 성공해 마곡사에 은신하다 잠깐 출가해서 머물렀다 합니다. 

1946년에 해방 이듬해 마곡사를 찾아 응진전 앞에 향나무 한그루를 심었으며 지금은 장성하여 백범 또는 김구나무라 불리고 있습니다.

 




공주 마곡사 여행이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