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여행/안동여행)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 안동 봉정사를 만나다. 안동봉정사 세계문화유산. 


이번에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에 우리나라 전통사찰 7곳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하나같이 모두 유명사찰의 타이틀을 달고 있지만 두 동의 국보 건축물을 보유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안동의 봉정사를 여행하고 왔습니다. 

봉정사는 국보인 대웅전과 극락전 이외에도 여러 국가 문화재를 보유했습니다.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 등재 안동봉정사 주소: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01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 등재 안동봉정사 전화:054-853-4181



2018/08/05 - [여행] - (안동여행)의성김씨학봉종택. 의성김씨학봉종택과 보물로 지정된 문화재를 운장각에서 보다.

2018/07/31 - [여행] - (경북여행/안동여행)일직면 안동 소호헌. 안동소호헌 여행

2018/07/27 - [여행] - (안동여행)안동이천동석불상. 안동제비원석불

2018/07/18 - [여행]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천등산 개목사 원통전. 개목사 원통전

2018/07/16 - [여행]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명옥대. 안동 봉정사 입구 명옥대 여행

2017/06/14 - [맛집] - (안동맛집)맛50년 헛제사밥. 제사음식 그대로 맛보는 곳 안동 전통음식 헛제삿밥, 맛50년 헛제사밥




단일사찰로 규모보다 이리 많은 문화재를 보유한 사찰을 찾기 힘들 정도로 봉정사는 숨겨진 보배로운 사찰입니다. 

봉정사 입구에서 내려 키 큰 나무가 그늘을 만들어 놓은 길을 걸었습니다. 

천연 고찰을 만난다는 설렘을 진정도 시키면서 산사의 진한 풀 내음과 청량한 공기를 마음껏 음미하기 위해서였습니다.



2016년에도 봉정사 여행을 했지만 2년 만에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을 만난다고 생각하니 내 마음이 다 설렜습니다. 

일주문을 지나면서 오르막이라 다시 한번 숨을 크게 돌려야 했습니다. 

막바지에 봉정사 오르는 돌계단을 두고 푸름을 잃지 않은 굵은 소나무가 무더위에 그늘을 만드는 양 길가에 드러누워 관광객을 맞이했습니다.



봉정사에는 따로 천왕문이 없으나 이 소나무가 천왕문 역할을 하는 듯 당당합니다. 

계단을 올라서면 봉정사 출입문인 누각형태의 만세루가 있습니다. 

일자로 길게 늘어선 게 세월의 더께를 느껴질 정도로 오래되어 보입니다.



봉정사 만세루는 1680년(숙종6년)에 처음 세워졌습니다. 

창건 후에는 덕휘루(德煇樓)라 불렀다 하나 언제부터 만세루가 되었는지는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고 합니다. 

만세루의 특징은 봉정사의 출입문 역할을 하며 산비탈을 깎아서 봉정사 절터를 만들다 보니 자연스럽게 축대를 쌓아 평평하게 터를 다졌습니다.

 


만세루는 축대 가운데에다 걸친 형태로 그 아래에 출입계단을 내어 봉정사를 드나들도록 했습니다. 

그 때문에 대웅전에서 만세루를 보면 지면과 연결된 단층건물이지만 외부에서 보면 2층 누각형태입니다. 

봉정사 만세루는 앞면 5칸에 옆면 3칸의 크기로 옆에서 보면 사람인자모양을 한 홑처마 맞배지붕건물입니다.



마루가 깔린 만세루는 정자나 강당 역할 등을 담당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바닥은 우물 정자 모양을 한 우물 마룻바닥에 평난간을 돌렸습니다. 

특히 만세루에서 눈여겨 볼 점은 누각을 받치는 기둥입니다. 

다듬지 않은 자연형태인 기둥은 휘어진 게 찾는 사람의 마음을 경직되지 않게 편안함을 주며 언뜻 보면 봉정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여겨집니다. 

만세루는 장식을 거의 하지 않았으며 운판과 북,, 목어를 설치하였고 덕휘루 현판과 기문도 걸려 있습니다. 

유형문화재 제325호. 

만세루를 지나면 봉정사 경내입니다.

 


먼저 앞쪽에 사찰의 중심건물인 국보 제311호 대웅전이 있습니다. 

나라의 보물이 한점도 아니고 두 점이 있는 것은 극히 드문 일입니다. 

봉정사 대웅전은 가운데 석가모니부처님을 주불로 두고 좌우로 협시보살인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모셨습니다.



대웅전은 1962년 해체하여 복원하면서 나온 기록을 보면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 사이에 중창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를 뒷받침하듯 극락전 상량문과 천등산 봉정사기(1728), 양법당중수기(1809)인 묵서와 1999년 해체 수리하면서 봉정사 탁자 조성기, 법당중창기(1435), 정면 어칸 기둥 묵서(1436), 대웅전개연중수기(1601)등의 기문을 찾아내어 대웅전의 변천 과정을 알게 확인하는 중요한 자료가 되었습니다.


확인된 자료에서 1809년까지 9~10회 정도 대웅전을 보수했으며 그중 1361년인 공민왕 10년의 불단 묵서와 1428년 세종 10년에 불화기록, 1431년에 단청을 했다는 기록을 찾아내어 최소한 봉정사 대웅전은 1425년인 세종 7년 전후에 중창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봉정사대웅전은 앞면 3칸에 옆면 3칸의 크기로 옆에서 보면 여덟 팔자모양의 팔작기와지붕입니다. 

봉정사대웅전은 기존의 대웅전과 다르게 대웅전 앞에 조선시대 누마루 양식인 툇마루를 달아내었습니다. 

이는 고려와 조선 초기의 건물 양식을 접목한 형태로 눈여겨 볼만합니다. 

안동 봉정사에서는 대웅전보다 더 오래된 건물이 봉정사 극락전입니다.









극락전은 우리나라 최고의 건축물 중 하나이며 1971년 극락전을 수리하다 1625년 인조 3년에 작성한 상량문이 발견되었습니다. 

상량문에는 672년인 신라 문무왕 12년에 능인 대사가 창건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원효대사의 창건설로 알려졌었으며 1363년인 공민왕 12년에 극락전의 지붕을 수리했다고 기록한 것을 보면 훨씬 이전부터 극락전이 있었다고 보여집니다.



천등산은 대망산이라 불렀으며 능인대사가 대방산 토굴에서 수도에 전념하였고 그 과정에서 스님의 불력을 시험하려고 천녀는 능인에게 파계하여 속세에 내려가서 함께 살자고 유혹하였으나 부처님의 말씀을 따르는 게 불제자의 도리라며 완강히 거부하였습니다.



이를 지켜본 옥황상제는 등불을 내려 굴 안을 환하게 밝혀 수도 하도록 하였습니다. 

스님은 도를 깨치자 도력으로 봉황을 접어 날려 봉황이 내려앉은 곳에 봉정사를 창건했습니다. 

하늘에서 등불이 내려온 굴을 천등굴이라 하였고 산은 천등산이라 불렀습니다.

 



천등산 봉정사는 최근까지 6번의 큰 중수가 이루어졌으며 6.25 한국전쟁 때는 인민군이 주둔하는 등 많은 어려움과 곡절도 있었습니다. 

다행히 봉정사 불전은 오늘날까지 명맥을 유지하여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는 큰 기쁨을 누렸습니다. 

1999년에는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도 한국방문을 하면서 이곳을 다녀가기도 했습니다.

 




극락전은 아미타불을 봉안하여 아미타전 또는 무량수전이라 부릅니다. 

건물 내부에 두 개의 기둥을 세워 불당 벽을 만들고 그 앞에다 부처님을 보시는 불단을 만들었습니다. 

닷 집은 화려하지 않으나 섬세하게 꾸몄으며 대장전이라 불렸다가 극락전으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극락전 앞에는 고금당과 삼층석탑이 있습니다. 

고금당은 앞면 3칸에 옆면 2칸의 맞배지붕 단층 기와건물입니다. 

봉정사의 많은 목조 건물 중에서 미니어처처럼 가장 작아 보이는 건물로 당시의 독특한 건축기법에 시선을 끄는 건물입니다. 

1969년 해체 수리를 하는 과정에서 1616년 광해군 8년에 고쳐 지은 것을 확인했으나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다고 합니다. 보물 제449호.








고금당과 극락전 사이에는 고려시대 양식인 삼층석탑이 있습니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에 지정되었으며 이중 기단에 석탑의 기단부 일부는 깨어지고 상륜부는 분실되었으나 대체로 깔끔하며 양호한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봉정사는 대웅전과 극락전을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누는 데 그 역할을 담당하는 건물이 화엄강당입니다. 

봉정사의 오래된 건축물을 많이 접하다 보니 화엄강당의 연역도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이 목조건물은 몇 년쯤 되었는지 그 궁금증을 가지며 화엄강당을 차근차근 보았습니다.

 






화엄강당은 앞면 3칸에 옆면 2칸 크기로 주심포양식인 맞배지붕 건물입니다. 

양법당중수기에는 17세기에 대웅전을 고쳐 지었다고 합니다. 

이때 화엄강당도 새로 지어졌거나 수리된 게 아닌지 보고 있습니다. 

본전불을 모신 대웅전에 비해 간결한 장식으로 꾸몄는데 이는 법당과 강당의 차별을 두려고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화엄강당은 보물제488호.





봉정사 경내를 둘러보고  영산암으로 총총 발걸음을 옮겼습니다.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천등산 개목사 원통전. 개목사 원통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안동의 천등산 봉정사를 이곳저곳 둘러보고는 인근에 개목사를 찾았습니다. 

개목사 또한, 봉정사를 창건한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 스님이 함께 창건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봉정사를 나와 개목사로 찾아가는 것이 시멘트 길이라 쉽게 생각했는데 개목사 앞까지 산길이 험해서 정말 오르는 길이 만만찮았습니다.

 



안동 천등사 개목사 주소: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개목사길 362

안동 천등사 개목사 전화:054-841-6304



2018/07/16 - [여행] - (경북여행/안동여행)안동 명옥대. 안동 봉정사 입구 명옥대 여행

2017/06/14 - [맛집] - (안동맛집)맛50년 헛제사밥. 제사음식 그대로 맛보는 곳 안동 전통음식 헛제삿밥, 맛50년 헛제사밥



개목사는 ‘눈이 뜨이다’는 뜻인데 그 뜻이 궁금했습니다. 

처음 능인스님이 창건하면서 흥국사로 불렸는데 왜 개목사로 바뀌었는지 궁금했습니다. 

개목사의 지명유래를 보면 그에 관한 전설이 두 개 내려옵니다. 



먼저 조선 세종 때 명제상으로 불렸던 고불 맹사성(1360~1438)의 일화입니다. 

맹사성은 학문의 경지도 높았지만, 풍수지리에도 아주 밝았다 합니다. 

그가 안동부사로 부임하여 하루는 관내 시찰을 나갔습니다. 

그런데 관민 중에 유달리 보지 못하는 소경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왜 그럴까?” 하면서 그 이유를 알아보았습니다. 

이는 천등산의 지세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맹사성은 그 길로 천등산 아래에 있는 흥국사를 찾아가서 이곳의 이름을 개목사로 바꾸게 했습니다. 

그러 고나서는 앞을 볼 수 없는 소경이 사라졌다 합니다.

 


그리고 또 하나의 전설은 능인대사와 관계된 전설입니다. 

천등산의 지세로 소경이 많았는데 능인대사가 천등굴에서 도를 깨치고는 흥국사를 세웠더니 그 후에 눈 먼 사람이 없어졌다 하여 개목사로 이름이 바뀌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천등산의 봉정사, 개목사는 능인대사와 때 놓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입니다. 

능인스님은 천등산 아래 암굴에서 수도정진 하였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능인스님 앞에 스님의 수행을 시험하고자 천녀가 나타났습니다. 

천녀는 온갖 달콤한 말로 스님을 꾀며 파계하여 내려가서 함께 살자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스님은 자신은 부처님밖에 없다며 불법의 진리를 굽히지 않았습니다. 

능인스님의 수행이 얼마나 처절했던지 천녀는 스님의 마음을 도저히 꺾지 못하겠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러고 나서 옥황상제의 명으로 스님의 부처님 공덕을 시험했다고 말하면서 옥황상제가 보낸 등불로 굴을 환하게 밝혀 더욱 정진하여 꼭 득도할 것을 염원하며 사라졌습니다.

 




능인스님은 그 등불을 의지하며 주야로 더욱 정진하였고 마침내 크게 도를 깨우쳐 굴을 나왔습니다. 

그 이후에 대망산이라 불렸던 산은 천등산이라 불렸으며 스님이 수도했던 굴 천등굴로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개목사는 원통전이 보물로 지정되었습니다.






그리고 원통전은 문간채를 통해 들어서는데 꼭 안동의 고택 같은 분위기입니다. 

개목사 원통전은 관세음보살을 본존불로 모셨습니다. 

건물을 1969년에 해체를 하는 과정에서 ‘천순원년(天順元年)“의 글자가 발견되면서 1457년 세조 3년에 창건된 건물로 보고 있습니다.

 




원통전은 앞면 3칸에 옆면 2칸의 단층의 맞배지붕 기와 건물이며 좌우 측면에 풍판을 달았습니다. 

특이하게도 법당은 온돌방이며 천장은 뼈대가 드러난 연등모양의 위부분이 노출해 있는데 조선 초기의 건축물로서는 아주 드문 경우라 합니다. 

1963년 1월 2일 보물 제242호에 지정



+ Recent posts